“내 집 꼭 마련해야 한다”
- 14년 신혼부부 주거실태 조사…
맞벌이 최대 이유 ‘주택비용’
부서: 주택정책과 등록일: 2015-05-06 11:00
국토교통부(장관 유일호)는
『2014년도 신혼부부가구 주거실태
패널조사』의 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조사는 기존의 주거실태조사와
별도로 신혼부부의 주거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처음으로
실시했다.
*
신혼부부
주거실태조사는 결혼한 지
5년 이내의 신혼부부 2,677가구를
패널조사방식(조사대상을 고정해서
조사)으로 매년 조사
(주거의식)
84.7%가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일반가구(79.1%)보다 주택에 대한
보유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맞벌이)
신혼부부가구 중
37.2%가
맞벌이를 하며,
맞벌이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주택비용
마련(41.2%)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위치)
주택의 위치는
직장과의 거리(47.6%)〉주거
환경(26.6%)〉부모 집과의 거리(17.7%)
순(順)으로 고려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정책)
신혼부부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육아지원
정책(53.4%)이
주택마련정책(35.5%)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1. 주거의식]
(내집마련 필요성) 신혼부부 가구의 84.7%가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2014년
주거실태조사 일반가구(이하 일반가구,
79.1%)보다
주택에 대한 보유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고소득층 보다는 중·저소득층*에서,
고소득층 보다는 중·저소득층*에서,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 보다는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가구에서
내집 마련 의지가 더 높게
나타났다.
* 통계청 ’14년 3/4분기 가계동향조사
소득분위표 기준: 저소득층(1-4분위),
중소득층(5-8분위), 고소득층(9-10분위)
(내집마련 소요기간) 현재 임차로 거주하는
(내집마련 소요기간) 현재 임차로 거주하는
신혼부부가구가
생각하는 내집마련
예상
소요기간은 평균 8년 9개월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10년,
지역별로는 수도권 10년,
비수도권
7년 3개월이며,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 9년 6개월,
중소득층
8년 1개월, 고소득층 5년 9개월로
나타났다.
[2. 맞벌이]
(맞벌이 가구) 신혼부부가구 중
[2. 맞벌이]
(맞벌이 가구) 신혼부부가구 중
맞벌이
가구는 37.2%로서,
혼인
연차별로 1년차가 44.8%로 가장 높고,
2년차
40.9%, 3년차 30.0%, 4년차 37.9%,
5년차
32.3%로 나타났다.
(맞벌이 이유) 주택비용 마련(41.2%)이
(맞벌이 이유) 주택비용 마련(41.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보다
여유로운 삶을 위한 비용 마련 >
생활비
마련 > 자녀 육아·교육비 마련
순(順)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벌이를 하는 이유의 대부분(81.5%)은
반면, 외벌이를 하는 이유의 대부분(81.5%)은
부부
중 한명이 자녀의 육아·보육을
희망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주택자금 마련방법]
(자금비율) 부부자금과 금융기관
[3. 주택자금 마련방법]
(자금비율) 부부자금과 금융기관
대출·융자를
이용해 주택비용을 마련한
가구
비율(35.5%)이 가장 높았고,
부부자금만으로
마련한 가구는 21.8%,
부부자금과
부모·친인척상속 등으로
마련한
가구는 13.8%로 나타났다.
(대출상품) 신혼부부 가구의 48.6%가
(대출상품) 신혼부부 가구의 48.6%가
주택자금
대출상품(내집 마련 대출 외에
전세자금도
포함)을 이용한 경험이 있고,
상품에
대한 이용 만족도는 2.98점
(리커트
5점 척도 기준)으로 나타났으며,
만족하지
않는 가구는 신청자격 완화(44.8%),
대출
기준금리 인하(37.9%)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4. 거주주택]
(주택선택) 신혼부부가 주택의 위치를
[4. 거주주택]
(주택선택) 신혼부부가 주택의 위치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요소는,
직장과의
거리(47.6%) > 주거환경(26.6%) >
부모집과의 거리(17.7%) 순(順)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집과의
거리를 중요하게 생각한
신혼부부
가구의 43.3%는
아내
부모집과의 거리를,
39.3%는
남편 부모집과의 거리를 각각
고려하여
주택 위치를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점유형태) 자가 29.4%,
(점유형태) 자가 29.4%,
임차
62.9%로 거주하여,
일반
가구(자가 53.6%, 임차 43.5%)에 비해
자가 비율이 크게 낮았으며, 임차 가구 중
전세
가구는 77.5%(일반가구 45.0%),
보증부
월세는 21.9%(일반가구 50.2%)로
나타났다.
(주택가격) 자가 가구는
(주택가격) 자가 가구는
평균
1억 9,800만 원의 주택에 거주하며,
수도권은
2억 3,000만 원,
비수도권은
1억 7,100만 원의 주택에 거주하여,
일반가구(전체
2억 1,500만, 수도권 3억 800만,
비수도권
1억 5,000만)와 비교 시,
수도권은
7,800만 원 정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세 가구의 보증금은 평균 1억 1,200만 원
전세 가구의 보증금은 평균 1억 1,200만 원
(수도권
1억 2,500만, 비수도권 8,900만)으로
일반
가구(전체 1억 1,000만,
수도권
1억 2,700만, 비수도권 7,100만)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주택노후도) 건축된 지
(주택노후도) 건축된 지
10년
이하 주택에 47.3%가 거주하며,
10년
초과 20년 이하의 주택에 38.0%,
20년
초과 주택에 14.7%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가구(10년 이하 26.2%,
일반가구(10년 이하 26.2%,
10년
초과 20년 이하 35.6%,
20년
초과 38.2%)와 비교 시
10년
이하의 주택 거주율이 21.1%p나
높게
나타나, 신혼부부는 새집 선호
경향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5.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
[5.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
(공공임대주택 입주의향)
신혼부부
가구의 52.3%는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할
의향이 있으며, 저렴한 임대료(74.2%) 및
임대료 상승에 대한 걱정이 없기
때문(21.6%)이라는 이유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입주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좋지 않은
사회적
인식(29.7%), 작은 주택규모(29.3%),
좋지
않은 주택성능(14.4%) 등을 꼽았다.
[6. 신혼부부 지원정책]
(지원 강화) 신혼부부 지원정책 중
[6. 신혼부부 지원정책]
(지원 강화) 신혼부부 지원정책 중
현재보다
확대/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정책은
육아지원 정책* > 주택마련 정책** >
생활안정
정책*** 순(順)으로 나타났다.
* 육아수당, 육아보조금, 탁아시설,
** 주택마련 대출금, 신혼부부 특별(우선)분양,
*** 생활비보조, 주택개보수지원
육아지원 정책 중에서는 육아수당 등
육아지원 정책 중에서는 육아수당 등
직접적인
자금지원(46.7%) 보다는,
믿고
안심할 수 있는 육아·탁아시설
확대(53.3%)를
더 중요시 했고,
주택마련
정책 중에서는 직접적인
주택공급
확대(39.7%) 보다는 주택마련
대출지원
확대(60.3%)를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생활 및 출산·육아]
(현재 관심사) 신혼부부 가구의
[7. 생활 및 출산·육아]
(현재 관심사) 신혼부부 가구의
최대
관심사는 육아(34.6%)이며,
그
다음으로, 소득 및 재산증식 > 이사 또는
내집
마련 > 대출·융자 등 부채상환 > 출산 및
가족계획
순(順)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 외식활동이
(라이프스타일) 외식활동이
월
평균 3.3회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월
평균 문화활동은 0.9회,
쇼핑(식료품·생필품
제외) 0.7회,
1박
이상의 여행은 0.3회로 나타났다.
(자녀계획) 현재 자녀수는 평균 1.19명
(자녀계획) 현재 자녀수는 평균 1.19명
(’14년
평균 출산율 1.21명)이고,
계획
자녀수(현 자녀 포함)는 1.83명으로,
맞벌이 가구는 현재 자녀수 0.9명,
계획
자녀수 1.72명,
외벌이
가구는 현재 자녀수 1.36명,
계획
자녀수 1.89명으로 각각 나타났다.
(출산장벽) 자녀를
(출산장벽) 자녀를
(더)
가질 계획이 없는 이유로는,
자녀양육
부담(40.5%), 가계 형편(37.9%),
직장생활
어려움(14.1%) 등을 꼽았고,
자녀를
(더) 가질 계획이 있지만 미루고
있는 이유로는, 가계형편(39.7%),
자녀양육
부담(33.4%),
직장생활
어려움(20.1%)을 꼽았다.
[8. 소득 및 지출 등]
(소득) 신혼부부 가구의 연간
[8. 소득 및 지출 등]
(소득) 신혼부부 가구의 연간
총
소득은 세전 4,339만 원으로서,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 3,069만 원,
중소득층
5,398만 원,
고소득층
9,347만 원으로 나타났고,
맞벌이
가구의 연소득은
외벌이
가구(3,675만 원)보다
약
1.5배 정도 높은 5,464만 원으로
나타났다.
* ‘14년 통계청 가계동향 조사에 따르면
일반가구의 가구당(2인 이상) 연간
세전소득은 5,162만 원(월 430만 원)
(월 지출액) 평균 총 265만 원(저축 포함)을
(월 지출액) 평균 총 265만 원(저축 포함)을
지출하며,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 217만 원,
중소득층
311만 원, 고소득층 436만 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득계층별 비율: 저소득층(1-4분위) 58.4%,
중소득층(5-8분위) 33.9%,
고소득층(9-10분위) 7.7%
월 지출액 중에서는 저축(25.7%, 68만 원)*과,
월 지출액 중에서는 저축(25.7%, 68만 원)*과,
외식비를
포함한 식료품비(23.1%, 61만 원)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저축: 일반 저축, 저축성 보험,
보장성
보험, 적립식 펀드 포함
(대출 및 융자) 57.2%의 가구가
(대출 및 융자) 57.2%의 가구가
대출·융자
등을 받았으며, 대출·융자를 받은 곳은
제1금융권(83.9%), 제2금융권(9.3%),
부모·친지·지인
등(9.2%),
직장·공공기관
등(5.3%)의 순(順)으로 나타났고,
이용목적은
주택자금 마련(87.4%),
생활비
마련(7.1%), 자동차 구입비 마련(6.5%),
사업
및 투자자금 마련(5.7%) 순(順)으로
나타났다.
* 중복응답 항목으로 가구별 해당되는
사항을 모두 선택
(대출·융자 상환부담) 신혼부부 가구의 27.1%는
(대출·융자 상환부담) 신혼부부 가구의 27.1%는
대출·융자상환이
부담되지 않다고 응답했으며,
응답자의
35.5%는 대출·융자 상환부담으로
인해
생활비는 아니지만 저축·오락비 등을
줄여야
한다고 답했다.
(상환가능 금액) 신혼부부 전체 가구가
(상환가능 금액) 신혼부부 전체 가구가
예상하는
대출상환가능 금액(이자 포함)은
월
평균 52만 원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대출가구의 상환액은
월
평균 70만 원으로 나타났다.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 38만 원,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 38만 원,
중소득층
62만 원, 고소득층 107만 원을
부담가능
금액으로 예상했고,
실제
대출가구의 상환액은 저소득층 56만 원,
중소득층
76만 원, 고소득층 129만 원으로
나타났다.
[9. 자료 공개 등]
금번 조사는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마련,
[9. 자료 공개 등]
금번 조사는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마련,
주거이동,
주거비 부담, 가구특성을
연속적·시계열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14년에
처음 실시되었으며,
LH
토지주택연구원과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의
신혼부부 2,677 가구를 대상으로
1:1
대면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국토교통부는 향후에도 신혼부부 가구
국토교통부는 향후에도 신혼부부 가구
주거실태
패널조사를 매년 실시하여
신혼부부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4년도 신혼부부 가구 주거실태 패널조사』에
『2014년도 신혼부부 가구 주거실태 패널조사』에
대한
연구보고서 및 마이크로 데이터는
5월
14일부터 국토교통부 홈페이지(www.molit.go.kr),
국토교통통계누리(http://stat.molit.go.kr) 및
주거누리(http://www.hnuri.go.kr)를 통하여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