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조선시대 누가
경영했나
○ 경기도-경기문화재단,
남한산성 사료총서 제5권
발간
- <조선의 신하, 남한산성에서 나라를 지키다>
○ 남한산성 역사자료 조사 정리 및
- <조선의 신하, 남한산성에서 나라를 지키다>
○ 남한산성 역사자료 조사 정리 및
총서발간 사업
일환
○ 조선후기 광주부 및 남한산성의 역대
○ 조선후기 광주부 및 남한산성의 역대
부윤, 유수, 수어사 330여 명 인물
망라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
남한산성문화관광사업단은
남한산성
역사자료
조사 정리 및 총서 발간 사업의
일환으로
사료총서 제5권
<조선(朝鮮)의
신하(臣下),
남한산성에서
나라를 지키다)>를
발간했다.
사료총서는
2011년부터
사업단이 추진한
남한산성 역사문화 집대성 사업으로,
남한산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세계유산적
가치 자료를 확보하고 남한산성
관련
고문헌 자료를 분석하는 작업이다.
이번
사료총서 제5권은
제1권
<역주(譯註)
남한등록(南漢謄錄)>,
제2권
<고지도
·
옛사진
자료집 :
100년의
풍경>,
제3.4권
<역주(譯註)
남한수어영중기
(南漢守禦營重記)>
발간에
이어
다섯
번째 성과다.
조선
후기 광주부 및 남한산성의
역대
부윤,
유수,
수어사
330여명의
인물
정보 망라
조선
후기 광주부 및 남한산성에서는
행정
및 군사체제의 변화에 따라
광주부윤(廣州府尹),
수어사(守禦使),
광주유수(廣州留守)
약
330여
명의
관리(官吏)가
거쳐 갔다.
남한산성
사료총서 제5권은
이들 관리의
초상화와
고유 업무 및 업적,
인물정보,
역대
명단,
선정비(善政碑)
현황
등을
수록했다.
먼저
1부
‘광주부윤,
행정을
관장하다’에서는
광주부윤의
남한산성 축성 및 광주부의
행정.경영의
업적과 이들의 초상화를
수록했다.
부윤은
종2품(從二品)
외관직(外官職)으로
지방관청인
부(府)의
우두머리로,
임무는
조선시대 지방 수령의 업무와
마찬가지로
교육의 진흥,
농업의
발전,
군인의
양성,
지역의
방어,
재판,
조세
징수,
건설,
지방
행정 등이었다.
2부
‘수어사,
군병을
통솔하다’에서는
병자호란
항전,
한봉성
및 봉암성 외성의
축성
과정,
무기
주조,
둔전(屯田)의
설치와 운영,
수어청
군병(軍兵)의
육성 및 훈련,
군량(軍糧)의
조성 및 관리 등 수어사의
주요
업무와 논의 과정,
관련
인물 초상화를
수록했다.
수어청(守禦廳)은
조선 후기 5군영(五軍營)의
하나로
1626년(인조
4)
서울
경기 동남부 지역의
방어를
위해 남한산성을 개축하고 관리하기
위해
설치됐다.
수어사는
수어청 으뜸벼슬로 종2품의
품계를
가졌다.
3부
‘광주유수,
산성도시를
경영하다’에서는
광주부윤의
행정 권한과 수어사의 군사 권한을
겸하게
된 광주유수의 활동상과 관련 인물의
초상화를
담았다.
유수는
조선시대 개성(開城)·강화(江華)·
광주(廣州)·수원(水原)
등
수도의 외곽을
방어하는
배도(陪都)로서의
기능을 갖추기
위해
각 요충지를 다스리게 하던 정이품(正二品)
또는
종이품(從二品)의
경관직(京官職)이다.
유수는
군사적 위치가 중요할 뿐만 아니라
부내(府內)에
축적된 많은 병선·병기·미포와
병기제조와
관련된 막대한 예산을 관장하는
직책이었으므로
정권을 담당한 당파와
척족에게
매우 중요한 관직이었다
이외,
4부
‘역대
광주부윤 및 광주유수,
수어사
인물정보’,
5부
한국체육대학교
교양학부
심승구 교수의 논고 ‘조선
후기
도성
방어와 남한산성 수어청’,
부록으로
‘역대
광주부윤 및 광주유수 명단’,
‘역대
수어사 명단’,
‘선정비
현황’,
‘남한산성
연표’,
‘남한산성
지정문화재
현황’
등을
수록했다.
사료총서
매년 발간 통해 역사적 가치 규명
남한산성문화관광사업단
관계자는
“이번
사료총서 발간을 통해 병자호란 이후
약
260여 년
간 남한산성의 행정 및 군사 체계의
운영
변화를 고찰하는 것은 물론 관련 분야의
연구와
문화재 활용 콘텐츠 개발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발행일
:
2014년
11월
30일
/
240쪽
/
정가
:
1만5,000원
담 당 자 :
손정은
(전화 :
031-8008-3344)
연락처 : 031-8008-3344
입력일 : 2014-12-19 오후 5:53:29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