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28일 금요일

평택시 출산율 반등! 합계출산율 1.0명 회복 - 인구 30만 이상 기초지자체 중 평택.화성만 1.0명대 -

평택시 출산율 반등! 
합계출산율 1.0명 회복
- 2023년도 대비 8.7% 증가한 1.0명 기록
- 인구 30만 이상 기초지자체 중 
  평택‧화성만 1.0명대

등록일 : 2025. 2. 27.
소통홍보관 : 031-8024-2100
언론홍보팀 : 031-8024-2110
담당자 : 031-8024-2126

[참고]
평택시, 차량 취득세 
다자녀 양육 감면 확대 시행
- 만 18세 미만 다자녀 기준 
  3자녀에서 2자녀로 완화는

여성, 가족, 아이들 모두 살기 좋은 
평택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평택시, 인구 50만 이상 기초 시군 중 
출생아 증가율 1위는


출산율 저하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평택시(시장 정장선)의 2024년 합계출산율이 
직전 연도보다 반등한 1.0명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5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잠정)’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0.03명 증가한 수치지만, 
OECD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 1명 미만인 
유일한 국가라는 꼬리표는 떼지 못했다.


합계출산율이란 한 여성이 
가임기간인 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로, 
한 국가나 사회의 출산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현재 인구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합계출산율이 2명 이상을 기록해야 하지만, 
국내 합계출산율은 1984년부터 
2명 아래로 내려갔고, 
2018년부터 1명 미만을 기록하고 있다.

낮은 출산율 기조는 
도시화가 진행된 지자체 중심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실제, 주민등록인구가 30만 명 이상인 
전국 63개 기초지자체 중 
61개 지자체의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평택시의 2024년 합계출산율은 
직전 연도보다 8.7% 증가해 1.0명대를 
회복했다. 
서울‧인천‧경기 66개 기초지자체 중 
합계출산율 1.0명 이상을 기록한 곳은 
평택시 등 4곳(△인천 강화 1.06, 
△경기 과천 1.03, △경기 화성 1.01)에 
불과하고, 
인구 30만인 이상인 
전국 63개 지자체 중에서는 
평택시와 화성시만 유일하게 
합계출산율 1.0명 선을 지켰다.

정장선 시장은 
“인구가 60만이 넘는 수도권 지역인 
평택시가 합계출산율 1.0명을 유지한 것은 
의미가 있다”면서 “고덕국제신도시나 
평택지제역 인근 신축 아파트에 
젊은 부부들이 입주하고,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등으로 인해 
안정적인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으며, 
평택시의 사회·환경·복지 정책들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비교적 높은 출산율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정 시장은 “앞으로도 많은 분이 
2세를 계획하고, 나아가 다자녀까지 
고려할 수 있도록 지역의 정주 여건을 
꾸준히 개선해 나가며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고 
전했다.

2025년 1월 주택통계 - 2025년 1월말 미분양주택, 주택건설실적, 주택거래량, 전월세 거래량 -

2025년 1월 주택통계
- 2025년 1월 미분양주택
- 2025년 1월 주택건설 실적
- 2025년 1월 주택 거래량
- 2025년 1월 전월세 거래량

담당부서 : 주택정책과
등록일 : 2025-02-28 06:00  

[참고]
2024년 12월 주택통계 
- 2024년 12월 미분양주택, 
  2024년 12월 주택 건설 실적, 
  2024년 12월 주택 거래량, 
  2024년 12월 전월세 거래량은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2025년 1월 기준 주택 통계를 공표하였다.

■ 2025년  1월 주택 통계 주요 현황
1. 미분양 주택
□ (종합) 2025년 1월 말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72,624호로 집계되었으며, 
전월(70,173호) 대비 3.5%(2,451호) 증가하였다.

2. 주택 건설
➊ 인허가   * 전체주택 대상
□ (종합) 
2025년 1월 주택 인허가는 22,452호로 
전월 대비 85.5% 감소하였고, 
전년동기 대비 13.0% 감소하였다.

➋ 착공  * 전체주택 대상
□ (종합) 
2025년 1월 주택 착공은 10,178호로 
전월 대비 84.4% 감소하였고, 
전년동기 대비 55.7% 감소하였다.

➌ 분양(승인)  * 공동주택 대상
(주택법상 입주자모집 승인 대상)
□ (종합) 
2025년 1월 분양(승인)은 7,440호로 
전월 대비 61.5% 감소하였고, 
전년동기 대비 46.2% 감소하였다.

➍ 준공(입주)   * 전체주택 대상
□ (종합) 2025년 1월 준공은 41,724호로 
전월 대비 9.2% 감소하였고,
전년동기 대비 13.5% 증가하였다.

3. 주택 거래량
➊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 
□ (종합) 2025년 1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38,322건으로 집계되었다.

ㅇ 전월(2024.12월, 45,921건) 대비 16.5% 감소, 
    전년 동월(’24.1월, 43,033건) 대비
    10.9% 감소하였다.

➋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
□ (종합) 2025년 1월 
전월세 거래량*은 200,677건
(임대차신고제 151,457건+확정일자 49,220건)으로 
전월 대비 7.9% 감소, 
전년동월 대비 19.0%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