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월 23일 수요일

경기도 인구, 빠르면 2020년 정점… 통계청 전망보다 13년 빨라


경기도 인구, 빠르면 2020년 정점
통계청 전망보다 13년 빨라

○ 2020년 경기도 인구 1,243만 명(추계인구 기준)
○ 경기도 생산가능인구는
    2015년 915만 명으로 정점
○ 경기도 인구 증가는 순유입 주도 이후
    자연증가도 한 몫
○ 주 출산 연령대인 20~30대 젊은 층에
   초점 맞춘 정책 필요

※ 해당 보도자료 관련 연구 원문은
경기개발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경기개발연구원의 분석 결과,
경기도 인구는 빠르면 6년 후인
2020년에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통계청이 예상한 2033년보다
13년 앞선 수치다.
경기개발연구원 김을식 사회경제센터장은
<경기도 인구 구조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연구보고서에서 이와 같이 밝히고
향후 인구 감소 추세를 완화시키고
줄어든 인구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
경기도 인구 분석은 통계청의 1995년 이후
장래인구추계에 나타난 과대 예측치의
평균 오차율(3.4%)2010년 추계에
적용한 결과로, 20201,243만 명(추계인구
기준)을 정점으로 차차 감소세에 접어들
전망이다.
경기개발연구원의 분석이 통계청 예측과
차이를 보이는 것은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미래인구를 과대 추정하는 경향을
감안한 이유다.
실제로 2005년 통계청 인구추계가
예측한 2010년 인구는 2010년 인구센서스에
비해 전국 1.8%, 서울 4.1%,
경기도 3.8% 높게 추정됐다.
동일한 오차율을 적용할 경우
경기도 생산가능인구도 빠르면
2015915만 명(추계인구 기준)으로
정점에 도달할 전망이다.
서울시 인구는 19901,047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경기도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3년 서울시
인구를 추월했다.
2013년 말 경기도 인구는 주민등록인구
기준 1,255만 명으로 1970년 대비 4.8
증가했다.
경기도 인구 증가는 그동안 순유입이 주도했으나
최근에는 자연증가 기여율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인구 순유입(2008~2012)에서
연령별로는 20~30대가 높은 비중(58.8%)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주한 인구가 49만 명으로
가장 높은 비중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기도 인구의
자연증가율은 주 출산 연령대인 20~30
순유입(경기도가 0.5%로 전국에서 가장 높음)
따른 출산 증가가 주 요인이다.
경기도의 인구 천 명당 출생아수는
2008~2012년 연평균 10.4명으로
전국(9.4)에서 가장 높다.
경기도 인구의 순유입을 주도하는 요인은
서울 대비 낮은 전세가격, 전국보다 높은
고용률에 기인한다. 교육 및 보육 여건 개선도
순유입에 한 몫 했다는 평이다.
한편, 경기도 도시 인구 비율은
전국이 2011년 이후 감소하는 모습과 달리
계속 증가하여 201393.3%에 달하고 있다.

김을식 사회경제센터장은 인구 증가의 핵심인
20~30대 젊은 층에 정책의 초점을 두고 주택,
일자리, 교육 등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전·월세 가격 안정,
일자리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고용·복지 연계
서비스 확대, 정보통신기술 산업 육성,
서비스업 생산성 제고 지원 등을 강조했다.
또한 보육 및 보건 분야에서 공간, 경제, 교육,
복지 등의 분야까지 인구 정책의 시야를
넓힐 것을 주문했다.
   
연락처
구 분
성 명
사무실 번호
연구책임
김을식 연구위원
031-250-3176


문의(담당부서) :
연락처 : 031-250-3292
입력일 : 2014-04-22 오후 6:33:54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