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단위 첫 교통전문 공기업
‘경기교통공사’ 공식 출범‥
교통복지 강화 시동
○ ‘경기교통공사’ 5월 12일 출범식 개최,
경기도민의 교통복지 강화에 첫 시동
○ 경기도 주요 교통정책사업 전담 수행기관,
31개 시군의 대중교통 컨트롤타워 역할 기대
- 경기도 공공버스 운영,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특별교통수단 광역이동지원센터 설치 등
- 수요맞춤형 교통수단(DRT) 도입,
광역교통 환승시설 구축 등 신규사업도 추진
○ 대중교통이 편리한 경기도,
도민이 안전한 경기도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문의(담당부서) : 광역교통정책과
연락처 : 031-8030-3714 2021.05.12 15:00:00
[참고]
경기도 공공기관 이전
시.군 공모 경쟁률 최고 ‘11대1’은
https://nacodeone.blogspot.com/2021/04/111.html
민선7기 핵심공약 ‘경기교통공사’
출범 ‘확정’‥공기업 설립 심의위서
설립계획 통과는
https://nacodeone.blogspot.com/2020/06/7.html
경기교통공사 설립 첫 단추 끼웠다‥
경기도, 행안부와 사전협의 완료는
https://nacodeone.blogspot.com/2019/06/blog-post_8.html
민선7기 이재명 지사의 교통정책 공약인
‘대중교통이 자가용보다 더 편리한 경기도’
실현을 위해 설립된 ‘경기교통공사’가
2021년 5월 12일 공식 출범하며
경기도민의 교통복지 강화에 시동을 걸었다.
이날 오후 경기교통공사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이한규 경기도 행정2부지사,
정성호 국회의원,
김명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위원장,
박재만 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 등이 참석해
경기교통공사의 첫 출발을 기념했다.
‘경기교통공사’는
‘대중교통시설과 수단의 확충,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도시 및 도농 복합 등 지역별 특성이
매우 다양한 도내 31개 시군의
대중교통 체계를 통합 관리하는
교통 전문 공기업이다.
특히 ‘특별한 희생엔 특별한 보상’이라는
민선7기 균형발전 정책에 따라
지난해 9월 경기북부 양주시로
사무소 입지가 확정,
이어 12월 설립등기를 마치고
조직(1본부 5팀)을 구성해 업무를
추진해왔다.
공사는 올해 ‘경기도 공공버스’를
138노선 1,350대에서 208노선 1,960대로
확대 운영해 대중교통의 공공성을
더욱 강화하고,
청소년(13~23세) 43만 명을 대상으로
연 최대 12만원까지 교통비를 지원하는
‘청소년 교통비 지원 사업’도 안정적으로 추진해
청소년들의 교통비 부담을 덜어 줄 계획이다.
아울러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 보장을 위한
‘특별교통수단 광역이동지원센터’의
설치·운영도 준비 중에 있다.
도내 31개 시군 센터간 이동 데이터 분석 등
연계관리를 통한 광역통합 운영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교통서비스 공공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신규 사업도 추진한다.
신도시·산업단지·농어촌·출퇴근 등
대중교통 부족지역과 불편시간대에
여객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수요맞춤형 교통수단(DRT) 도입’과 함께,
‘광역교통 환승시설(환승센터·주차장)’
확충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또한 철도 분야에 있어서도
국가철도망 구축계획과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서 발표된
도내 철도 건설 노선에 대한
운영 전문성을 확보하고,
철도사업 통합운영을 통한 균등한
서비스와 보편적 이동권을 보장하여
교통서비스의 획기적인 변화와
혁신을 선도할 방침이다.
이한규 행정2부지사는
“경기교통공사는 경기도에서
전액 출자해 설립한 지방 공기업으로,
도 단위 교통공사로서는 전국 최초”라며
“경기도 교통정책 전담기구로
수도권 교통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상균 경기교통공사 사장은
“기대와 성원에 부응해 교통전문
공기업으로서 부여받은 과업을
반드시 완수할 것”이라며,
“편리하고 안전하며 지속가능한
대중교통 서비스로 도민들의
교통복지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이날 출범식에 이어
경기교통공사, 경기도교통연수원,
한국교통안전공단 경기남부본부 및
경기북부본부와 ‘대중교통이 편리한 경기도,
도민이 안전한 경기도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 기관들은 앞으로 실무 TF단을 구성,
수시 실무협의를 통해
▲교통정책 공통 현안에 대한 협업,
▲협력사업 발굴 및 추진,
▲연간업무계획 및 추진일정, 통계자료 등
정보 공유에 적극 협력하기로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