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7월 29일 화요일

2030년 경기도 산업구조, 서비스업 60%


2030년 경기도 산업구조,
서비스업 60%

○ 경기도 서비스업 생산액
    2020년 62.3%에서 2030년 60.3%
○ 경기도 제조업 부가가치
    2020년 42.3%에서 2030년 43.7%

※ 해당 보도자료 관련 연구 원문은
경기개발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2030년 경기도 산업생산구조 전망 결과
서비스업이 60.3%, 제조업이 38.6%,
림수산업이 1.1%를 차지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기도 부가가치는 서비스업이 55.6%,
제조업이 43.7%, 농림수산업은 0.7%
이를 전망이다.
 
이와 같은 전망은
경기도 지역투입계수표를 활용하여
36개 업종별 생산, 부가가치, 고용
유발계수에 대해 시계열 분석한 결과로,
경기개발연구원 이상훈 선임연구위원의
<경기도 산업구조 전망과 시사점>
연구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경기도 생산액 비중에서 서비스업은
202062.3%, 202561.9%,
203060.3%로 주도적 역할을
차지할 전망이다.

특히 서비스업 중 연구개발업은
20206.3%에서 20306.9%
비중이 확대될 전망이다.
통신·방송·영상 음향기기 업종은
20201.9%에서 20252.0%,
20302.1%로 비중이 증가하는 반면
부동산업은 20203.4%, 20253.2%,
20303.0%로 비중이 감소할 전망이다.
 
서비스업 다음으로는 제조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202036.5%,
202536.9%, 203038.6%로 전망된다.
 
경기도 부가가치 전망 결과도
서비스업 비중이 202056.9%,
202557.2%, 203055.6%로 높다.
다음으로는 제조업으로 202042.3%,
202542.1%, 203043.7%40%
초과할 전망이다.
특히 제1차금속·금속제품은
202014.7%에서 203018.5%
비중이 확대될 전망이다.
 
경기도 고용구조 전망도 나왔다.
서비스업 고용자수는 2012290만 명에서
 2030311만 명으로 증가하고
제조업 고용 비중은 202030.3%,
202528.4%, 203028.7%를 차지해
급격한 고용 비중 감소는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상훈 선임연구위원은 지역경제의
서비스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의
역할은 지속될 전망이라면서, “서비스업
부문의 생산성 향상에 의한 부가가치 증대와
고용창출 확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담당자  이상훈 031-250-3241      
 
 
문의(담당부서) : 경기개발연구원
연락처 : 031-250-3292
입력일 : 2014-07-25 오후 5:58:50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