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15일 수요일

건설 산업, 지난해 "경쟁력" 세계 7위 유지

건설 산업, 지난해 "경쟁력" 세계 7위 유지

- 해외시장 "적극 공략" 결과 ...
  시공 경쟁력 지속적 상승

                                                           기술정책과 등록일: 2014-01-14 11:00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우효섭)과 함께
2013년도 국내 건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순위를 평가한 결과, 우리나라는
조사대상 21개 국가 중 7위를 기록하였다고
밝혔다.

2011년 개발된「국가별 건설 산업
글로벌 경쟁력 종합 평가」는 2개*의
세부 평가지표로 구성된다.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 평가,
  국가별 건설기업 역량평가)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 평가」는
건설시장규모·건설시장성장률·건설리스크·
건설제도·시장안정성·인프라 등의
총 6개 평가지표들로 구성되어
글로벌 건설시장에서 성공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국가의 총체적
능력을 나타내며,
「국가별 건설기업 역량평가」는
시공·설계·가격경쟁력 등 총 3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되어 건설기업의
경영능력과 성과를 나타낸다.

국가별 건설 산업
글로벌 경쟁력 평가 결과
3년 연속 미국이 1위,
중국이 2위를 차지하였고,
독일·영국 등 유럽 국가들이 3~6위,
한국은 2012년과 동일한 7위를 차지하여
미국과 유럽의 강세가 지속되었다.

세부지표인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 지표 평가결과 2012년에 이어
중국이 1위, 미국이 2위를 차지하였고
한국은 8위를 기록, 2011년 11위,
2012년 10위에 이은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 건설인프라 경쟁력의 순위상승은
세부지표 중 건설시장 성장률의 비약적
상승(’12년 16위 ⇒ ’13년 8위) 및
우수한 건설리스크 관리 환경(2년 연속 4위)에
힘입은 바가 크다

- 한편, 건설시장규모·
건설제도·인프라 분야는 10위,
시장안정성 부문은 13위로
중위권 수준을 형성하여
향후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세부지표인 국가별 건설기업
역량평가 결과에서는 미국이 작년에 이어
1위를 차지하였고 한국은 2년 연속 7위를
유지하였다.

- 세부지표별로 살펴보면 시공경쟁력은
해외매출액이 전 분야에 걸쳐 큰 성장세를
보이며 순위가 상승(’12년 8위⇒
’13년 4위)하였으나

- 설계경쟁력 평가에서 전력과
상수도 분야 해외매출액 저하로
성장률이 둔화되면서 순위가
하락(’12년 10위⇒ ’13년 19위)하여
전체적으로는 동일 순위를 유지함

국토교통부에서는 기술력 확충과
시장개척을 위한 R&D 투자 확대 및
건설기술관리법 전면개정을 통한
건설기술진흥법 시행을 통하여
건설제도 보완 및 설계 경쟁력 향상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붙임 :
1. 국가별 건설산업 글로벌 경쟁력
    종합 평가 지표
2. 국가별 건설산업 글로벌 경쟁력
   평가모델 지표 가중치
3. 국가별 건설산업 글로벌 경쟁력
   종합 평가결과 
4.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
   지표 및 건설기업 역량평가 지표 평가결과
5.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
    세부지표 평가 결과
6. 국가별 건설기업 역량평가
    세부지표 평가 결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