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 28일 수요일

Smart phone(스마트폰) 보유자 43.7%, 모바일 쇼핑 이용


스마트폰 보유자 43.7%, 모바일 쇼핑 이용

○ 모바일 쇼핑 비율, 무점포 상권>대형점
    상권>길거리 상권 순
○ 해외직구, 복합쇼핑몰 영향으로
    백화점도 매출 감소
○ 길거리 상권은 문화․여가와 결부시킨
    ‘감성 산업화’로 차별화해야


수도권에서 스마트폰 보유자 43.7%
모바일 쇼핑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점포 상권(인터넷 쇼핑몰, 소셜커머스 등)
65.8%로 가장 높았으며,
대형점 상권(대형마트, 백화점 등) 46.0%,
길거리 상권 29.5% 순이다.
한편 총 쇼핑 지출액 가운데
모바일 쇼핑이 차지하는 비중은
소셜커머스(55.3%), TV홈쇼핑(48.3%),
인터넷쇼핑몰(46.8%) 등 무점포 상권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개발연구원이 지난 514일부터
20일까지 수도권 거주 20~50대 남녀 3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95% 신뢰수준, 오차범위 ±5.17%),
<스마트 쇼핑 시대, 오프라인 상권의 활로>
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한국의 소매업 대비 인터넷 소매업
매출 비중은 12.7%(2012년 기준)
영국(9.6%), 독일(5.0%), 일본(3.9%)
비해 높다. 이는 세계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
잘 갖추어진 택배 체계, 급속한
스마트폰 보급 등에 기인한다.
온라인 쇼핑 시장을 주도하던
PC 기반 인터넷 쇼핑몰 성장은
정체상태인 반면 스마트폰과
태블릿 기반의 모바일 쇼핑은
매년 100% 이상 성장하여
2013년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4.7
조 원으로 전년대비 179% 증가했다.
설문조사 결과 알뜰장/5일장(9.6%),
전통시장(14.9%), 근린상점가(24.8%)
등 대부분의 길거리 상권에서는
모바일 쇼핑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도심/구도심상가(48.4%)에서는
다소 활성화된 것을 볼 수 있다
모바일 쇼핑 활성화로
전통시장은 30.0%의 고객이,
알뜰장/5일장은 24.4% 고객이
지출을 줄인 반면, 인터넷 쇼핑몰,
소셜커머스는 각각 46.6%, 39.7%
고객이 지출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외직구의 성장과
쇼핑·여가를 한 장소에서 해결하는
복합쇼핑몰은 백화점 고객 지출 감소에
각각 30.7%, 33.8%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형점 상권도 새로운
쇼핑 형태로 타격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수도권 주민 1인당
총 쇼핑 지출액은 월 평균 67.5만 원이며
대형점 상권 비중이 43.5%로 가장 높고,
무점포 상권 32.4%,
길거리 상권은 24.0%로 가장 낮다.
연구를 주관한 신기동 연구위원은
위축된 길거리 상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SNS, 위치기반 서비스 등을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을 강조했다.
무점포 상권과 달리 고객 방문 유도가
길거리 상권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길거리 상권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빵/제과(50.6%), 야채/과일(45.8%),
패션잡화/액세서리(38.6%) 등을 중심으로
특화하고, 문화·여가와 결부시킨
감성 산업화로 차별화를 실현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온라인 쇼핑족을 대상으로 하는
오프라인 깜짝 프로모션, 이벤트 행사 등을
개최하고, 지역의 역사성·장소성 등을
바탕으로 정체성을 강화하여
문화여가공간으로 개발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신기동 연구위원은 경기도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에서 구축·운영중인
전통시장 포털사이트의 SNS 연계 모바일
버전을 개발하되 지역상권 전체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면서, “전통 길거리 상권의
차별화 요소를 발굴·강화하는 한편,
상인들의 스마트 시대 대응력 강화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연구책임 신기동 연구위원 031-250-3246

문의(담당부서) : 경기개발연구원
연락처 : 031-250-3292
입력일 : 2014-05-27 오후 6:38:37



첨부파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